WSL 2 에서 Xdmcp(VcXsrv) 와 Ubutu desktop 설치 후, 나머지 과정을 설명합니다.
Ubuntu desktop 설치와 VcXsrv 사용방법은, 이전 블로그 글을 참고하세요.
Ubuntu system을 Real machine 이나 Virtual machine(VirtualBox 등) 에 설치할 때에는
Ubuntu installer 가 hardware를 검사하고, 알맞은 실행 환경을 설정하게 됩니다.
그러나, WSL 에 Ubuntu 를 설치하는 경우, 현재의 installer 는 WSL 환경을 모릅니다.
또한, ubuntu-desktop package 들의 설치 대상은 ubuntu minimal server 입니다.
따라서, WSL에서는, 필요한 package를 설치/구성하거나, 실행환경을 맞춰 줘야 합니다.
아래는, VcXsrv(Xdmcp)로 Ubuntu Desktop 접속시 필요한 environment variable 입니다.
export XDG_SESSION_TYPE=x11 export XDG_SESSION_CLASS=user export GDK_BACKEND=x11 #export LIBGL_ALWAYS_SOFTWARE=1
4번째 line 의 # 은 comment 입니다.
VcXsrv나, 다른 X-server에서 GUI 문제가 있을 때, # 을 지워서, 활성화 해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VcXsrv 의 Native opengl 설정도 바꿔 보시기 바랍니다.
위 code를 .bashrc 나 .profile 에 추가하면 되는데, .profile에 추가하기를 추천합니다.
user계정 home의 .profile 을 editor(nano 등)로 열고, 추가 후 저장하세요.
user 계정이 gildong 인 경우, /home/gildong/.profile 입니다.
nano .profile nano ~/.profile
위는, nano editor를 여는 2가지 방법입니다.
첫번째 line은 현재 directory가 계정 home(~) 에 있을 때 가능한 방법입니다.
두번째 line은, home(~)을 지정하여, 현재 directory와 상관없이, 가능한 방법입니다.
참고로, ~ 글자는 계정 home 의 의미입니다.
nano editor에서, 화살표 키로 맨아래로 이동 하고,
windows 측에서 copy 후, ubuntu terminal에서 우클릭하면 paste 됩니다.
끝내려면, Ctrl-X 누르고, Yes/no 에서 yes, file name은 변경 없이 enter 누르면 완료입니다.
Ubuntu를 shutdown 하지 않아도 되며, logout 후 login 하면 적용 됩니다.
다음은, VcXsrv로 처음 login 시, 최초로 보여지는 화면입니다. (ubuntu-desktop package)
VcXsrv의 screen을 1024x768 로 지정했기 때문에, welcome app 창 일부만 보이고 있습니다.
그 후, 다음처럼 ubuntu update 와 Authentication 창이 나올 수 있습니다.
아래는, ubuntu-desktop-minimal package로 설치한 경우이며,
좌측 dock에서 rythmbox와 libre office icon이 없습니다.
중앙의 color manage Authentication은, ubuntu의 실행정책(policy)이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color manage authentication이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별 문제 아니니, 계정 비밀번호를 넣고 Authenticate 를 누릅니다.
* Ubuntu Desktop 사용에 필요한 policy 설정은 별도의 blog글로 올립니다.
windows 와 마찬가지로 title bar를 drag 하고, 창의 edge 에서 크기조절 됩니다.
아래의 software updater는, 첫번째 login시와 설정된 주기에 의해 나오게 됩니다.
수동으로 ubuntu terminal에서,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명령으로
동일한 수행을 할 수 있습니다. install now 누르면, authentication 창이 나오고
계정 비밀번호를 넣으면, 설치가 진행됩니다. 나중에 해도 무방합니다.
위쪽의 welcome ubuntu app은, 기본적인 ubunu 최초 설정입니다.
위의 화면은, ubuntu pro의 안내이며, 우측 상단 Next 를 눌러 진행하면 됩니다.
위 화면은, 설치 환경 정보(PC model 등 system 정보)를 Ubuntu 제작/배포 회사에
( Canonical ) 보낼지 말지 선택하는 창입니다.
원하는 radio button을 눌러서 선택한 후, 우측 상단, Next를 누릅니다.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설정입니다.
Mozilla 나 기타 app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하려면, 허용해야 합니다.
우측 상단, Next로 진행합니다.
Ubuntu 에서 사용가능한, 잘 알려진 App을 보여주며,
왼쪽 아래의 Open "Software" now 를 누르면, Store 로 이동하여 설치 가능합니다.
우측 상단의 Done을 누르면 끝납니다.
welcome app이 정상 종료되면, ~/.config/gnome-initial-setup-done 파일이 생성됩니다.
user 계정이 gildong 이면, /home/gildong/.config/gnome-initial-setup-done 입니다.
이 file이 생성되면, welcome app은 실행되지 않습니다.
user file이므로, user 계정 마다, desktop 최초 실행시 welcome app이 실행됩니다.
이 gnome-initial-setup-done을 지운 후, login하면, welcome app이, 다시 실행됩니다.
참고로, 실행파일은 /usr/libexec/gnome-initial-setup 인데, 직접 실행하면 문제가 있습니다.
실행권한이 다른 문제가 있고, new user mode로 동작하게 됩니다.
재실행 필요시, gnome-initial-setup-done 을 지우고 logout , login 하세요.
다음은, ubuntu-desktop-minimal 로 설치한 경우의 application 들 입니다.
좌측 dock의 맨아래 3x3 dots(show application)를 클릭하면, icon들이 나옵니다.
다음의 2장 은 ubuntu-desktop 으로 설치한 경우의 application들 입니다.
화면 좌 우측에 mouse를 가져가면, 좌, 우 화면 일부가 보이게 됩니다.
보여지는 < 또는 >를 클릭시 이동하게 되며, 하단 중앙의 dot를 클릭해 이동할 수 있습니다.
VcXsrv(Xdmcp)를 끝내려면, logout 을 해야 합니다.
logout 없이 VcXsrv를 종료하는 것은 문제를 발생 시킵니다.
간단히 표현하자면, Real Machine에서 강제로 power-off 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아래의 그림처럼, 우측 상단의 power icon을 클릭하고,
다시 맨아래의 Power Off / Log Out을 눌러 확장한 후, 맨 아래의 Log Out을 클릭합니다.
이 밖에 해야 할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용할 수 없는 package 제거
좌측 dock의 최상단에 있는 hard disk icon은, install release app 인데,
ubuntu desktop 없이, minimal server 로 설치한 경우에 실행 할 수 있습니다.
wsl 에서 GUI 동작은 되지만, application 설치 단계에서 멈추고, 진행이 안됩니다.
즉, 제대로 실행도 되지 않고, virtual disk 용량만 차지합니다.
modem manager 는, 무선전화용 (휴대전화, cellphone) modem protocol입니다.
즉, WSL 과 같은 virtual machine 에서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service 형태의 daemon이기 때문에, cpu 자원을 계속 소모하게 됩니다.
위 두가지 package를 삭제하려면, ubuntu terminal에서 다음 명령을 입력합니다.
sudo apt purge modemmanager sudo apt autoremove --purge sudo snap remove ubuntu-desktop-installer sudo snap refresh
첫번째 line은, modemmanager를 삭제합니다.
두번째 line은, 필요치 않게 된 package( modemmanager의 dependency ) 를 제거합니다.
세번째 line은, snap 형태인 ubuntu-desktop-installer 를 제거합니다.
snap은,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한 package system 입니다.
네번째 line은, snap을 정리하는 명령입니다.
2) 381 MB volume icon 제거
위 그림의 icon은, WSL 의 virtual disk 일부가 ubuntu에 인식된 결과로, 생긴 icon입니다.
동작하지 않으며, 쓸데없이 dock의 자리만 차지합니다.
desktop의 좌측, dock의 맨아래의 show application 누르고 terminal을 찾아 실행하고,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즉시 반영됩니다. 한번만 해주면, shutdown 해도 유지됩니다.
gsettings set org.gnome.shell.extensions.dash-to-dock show-mounts false
맨 끝의 false 를 true 하면, 다시 icon이 표시됩니다.
desktop 내의 terminal이 아닌, windows 측의 ubuntu terminal 에서 실행하면,
다음 login 시 반영됩니다.
3) 기타 참고 사항
현재(2023년7월28일), ubuntu-desktop 또는 ubuntu-desktop-minimal package 설치 시,
dock가 정상적으로 좌측에 나오지만, 전에는 화면 하단 중앙에 나오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하단 중앙에 나왔던 이유는, gnome-shell-extensions 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설치는 다음의 명령으로 합니다.
sudo apt install gnome-shell-extensions
뭔가 꼬였거나, 잘 되지 않으면, purge 로 제거 후, 다시 설치 해 보세요.
위의 전 과정이 끝났으면, 웬만한 app은 사용이 가능하나, 아직 안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특히, VcXsrv 를 close 한 후, ubuntu를 shutdown 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문제는 사용자 권한과 정책(policy) 설정이며, 제외된 필수 app 도 있습니다.
이것들은, 다음 blog 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0 댓글